참진드기가 옮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를 돌보던 의료진 7명이 환자의 혈액과 체액에 노출돼 2차 감염됐으나 천만다행으로 치료를 받고 모두 나은 것으로 알려졌다.
SFTS는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므로 1차 감염을 피하기 위해 긴 옷, 모자, 양말 등을 착용해 노출 부위를 줄이고 기피제를 사용해야 한다.
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달 충북 청주의 한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SFTS 중증 환자 A (69) 씨에게 심폐소생술을 한 의료진 7명이 환자의 혈액과 체액에 노출돼 2차 감염됐다.
환자 A씨는 지난 6월 2일 발열 등 증상을 보여 4일 보은 소재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았으나 차도가 없어 5일 청주의 종합병원으로 옮겨 치료를 받았다.
하지만 9일 발열·범혈구감소증 등 증상이 악화하자 급히 상급종합병원으로 옮겨져 집중치료를 받았지만 병세가 급격히 악화됐고 11일 심폐소생술을 받던 중 숨졌다.
그런데 17~20일 A 씨 심폐소생술에 참여한 의료진 중 9명에게서 차례로 발열과 두통, 근육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SFTS 확인진단검사 결과 7명이 양성으로 확인됐다.
역학조사 결과 이들 의사는 환자의 기관 내 삽관, 객담 흡입, 인공호흡기 적용, 심폐소생술 등의 처치 과정에서 환자 혈액과 체액을 접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치료 과정이 길어지면서 의료진의 환자 노출 범위가 커졌다.
질병청은 "환자 체액 등에 직접 노출된 의료진과 장례지도사, 간접적으로 노출돼 감염 우려가 있는 의료진, 가족 등을 대상으로 최대잠복기(14일)의 2배인 28일 동안 추적 관찰 중"이라며 "접촉자 전원에 대해 역학조사 중이며, 추가 전파 우려가 없어 환자가 거쳐간 의료기관명은 공개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SFTS는 주로 바이러스를 가진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지만 중증 SFTS 환자나 사망자의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될 경우 사람 간의 전파가 종종 일어난다.
지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사람 간 SFTS 2차 감염자는 모두 35명이며 이 중 심폐소생술, 기관 삽관술 등 응급 처치에 나선 의료진 34명, 숨진 환자 시신의 염습을 담당한 장례지도사 1명이었다.
SFTS는 예방 백신과 치료제가 없으며 국내 환자 치명률은 18.5%에 달한다. 야외 활동이나 SFTS 환자 진료시 개인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이번 사례를 통해 의료기관 내 2차 감염 위험성을 재확인하게 된 만큼 SFTS 환자 진료 및 치료 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등 의료종사자 감염관리를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