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우려되는 의료 대란] 성균관대 의대 교수협의회 "정부·의협 대승적으로 양보해야…500명 증원 가장 많아"

천진영 기자 승인 2024.02.26 02:38 | 최종 수정 2024.02.26 02:39 의견 0

성균관대 의대 교수협의회가 의료 대란의 피해자는 환자이기 때문에 정부와 대한의사협회는 모두 대승적 입장에서 양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사 증원에 찬성하는 교수가 많았고, 500명선이 적정하다고 판단했다.

의대 교수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는 국내에서 처음이다.

홍승봉 성균관대 의대 교수협의회장은 25일 "지금의 의료 대란의 피해는 모두 중증·난치성 환자에 돌아가고 다음 달이 되면 의료대란은 재앙으로 바뀔 것”이라며 "다음 달에 신규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가 병원에 들어오지 않으면 법적·행정적으로 제재할 방법이 전혀 없고 대학병원의 입원과 수술 등 전체 진료가 마비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와 의협 모두 대승적으로 양보해야 한다. 정부는 일방적인 증원 정책을 멈추고, 의사 단체는 가두시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했다.

'전공의'들이 집단행동 중인 지난 23일 경남 진주시 칠암동 경상국립대 병원 입원 수속 창구 모습. 정기홍 기자

이날 지난 23~24일 성균관대 의대 교수 201명을 대상으로 한 의대 증원 규모 설문 조사 결과도 공개됐다.

교수 50명(24.9%)은 500명 증원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반면 같은 50명(24.9%)은 의대 정원 증원을 반대했다. 이어 42명(20.9%)이 2000년 7월 의약분업제도(의사는 처방전 교부, 약사는 조제·투약) 이전 수준인 350명 증원에 찬성했다. 소수로 10명(5%)은 1000명, 8명(4%)은 2000명 증원을 찬성했다.

교수협의회는 "설문 결과를 종합하면 의대 정원 증원을 찬성하는 비율이 55%로 반대하는 비율 25%보다 더 높았다"고 밝혔다.

한편 필수 의료와 지방의료 붕괴 해결책으로 수가 인상, 의료전달체계 확립, 의료사고 시 법적 보호장치 마련이 제시됐다.

저작권자 ⓒ 더경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