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예비후보가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공약을 들고 나오자, 구체적인 추진 일정을 제시해야 믿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대선 때만 되면 던지고 마는 '신기루 같은 공약'이 되지 않으려면 '언제까지'를 명시하라는 요구다.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 등 부산 지역 시민단체와 학계, 법조계, 노동계, 해양업계는 지난 18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긴급 성명을 발표했다.
앞서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융합의 허브, 부울경 메가시티를 글로벌 물류와 산업 중심의 해양수도로 만들겠다”며 부산·울산·경남의 공약을 밝혔다.
그는 부울경 메가시티 구축, 북극항로 개척, 대륙철도 연결, 해수부 이전, 해사전문법원 설립 등 구체적 공약도 함께 제시했다.
정부세종청사에 있는 해양수산부 청사 사옥. 해수부
해양 업계와 부산 지역사회는 해수부 부산 이전 공약 발표를 환영했다.
다만 대선 전에 확실한 이행 조치를 시행하라고 요구했다.
해수부 이전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 추진됐지만 무산됐다.
이후 대선 때만 되면 후보들은 너나없이 유사한 내용의 이전 공약을 발표했지만 지금까지 진전된 것은 전혀 없다는 주장이다.
특히 여의도에 있는 한국산업은행의 부산 부산 이전도 대선 때 발표된 이후 게걸음 중이다. 이 대표가 대표로 있었던 민주당이 반대 입장을 내놓았었다.
해양정책 컨트롤타워인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부산에서 오랜 기간 요구해 온 핵심 현안이다.
부산은 세계 2위 환적(換積·해상 화물을 중간 항구에서 다른 선박에 옮겨싣는 것) 항만이다. 또 거제와 울산 등을 낀 세계 1위 조선산업벨트이고, 국내 최대 수산물 거래소를 보유한 한국의 해양산업 중심지다.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조사원, 해양수산인재개발원, 해양진흥공사 등 해수부 산하 주요 공공기관들은 이미 부산에 와 있다.
부산의 단체 등은 이와 함께 설립을 추진 중인 해사전문법원의 부산 유치 법안도 조속히 통과시킬 것을 요구했다.
이 법안은 이미 국회 상임위에 계류 중이고 민주당이 다수당이기에 부산 이전의 의지가 있다면 대선 전에 해사법원 부산 신설은 충분히 처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