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18 민주화운동 45주년 하루 전인 지난 17일 옛 광주교도소 터를 방문해 "5월 정신은 남을 미워하거나 누구를 공격하는 수단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옛 광주교도소는 1980년 5·18 광주항쟁으로 수감 생활을 하던 박관현 전남대 총학생회장이 1982년 내란중요임무종사 등의 혐의로 체포돼 광주교도소에 수감돼 50일간 단식투쟁을 하다 지병으로 사망했다. 직후 김 후보가 이 방에 들어가 1년간 수감 생활을 했다.
17일 광주광역시 5·18민주묘지에서 박관현 열사 묘역 찾은 김문수 대선후보 /뉴시스
김 후보는 "이들의 희생 위에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가 서 있다"며 "그것을 정치적으로 악용하거나, 아까 저 보고 고함치는 사람도 있지만 그 사람들이 오월의 아픔을 알겠나"라고 지적했다. 앞서 광주전남촛불행동 소속 회원들은 묘지 정문 앞에서 "내란세력은 지금 당장 광주를 떠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항의했다.
그는 "제가 목포에서 광주로 이감 돼 오니까 교도관이 독방에 집어넣으면서 하는 얘기가 '여기가 박관현이 죽어 나간 데니까 정신 차리고 똑바로 해라'였다"며 고인과의 인연을 언급했다. 사후의 인연이라며 눈물도 훔쳤다.
이어 "제가 매년 박관현 묘소는 꼭 참배한다"며 "누님이 살아계신데 매년 오신다. 너무나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1986년 직선제 개헌 투쟁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된 뒤 서울구치소·안양교도소 등을 거쳐 광주교도소에 수감됐다. 이후 1988년 개천절 특사로 출소했다.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 방문한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국민의힘TV
앞서 김 후보는 이날 오전 8시30분쯤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며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썼다.
이어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광주·전북·전남 현장회의를 주재했다.
김 후보는 이 자리에서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를 겨냥해 "부패하고, 거짓말하고, 도둑질하고, 독재를 하는 정치는 절대 안 된다는 명령이 바로 광주 5·18의 명령"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선거는 단순하게 어떤 정당 간의 대결이 아니라 이 나라 민주주의가 한 단계 발전하느냐 아니면 세계 역사상 유례없는 해괴망측한 독재로 전락하느냐"라며 “이 후보가 대권을 잡으면 입법 독재를 넘어서 행정부 독재까지 하게 된다. 대법원장부터 어느 법관이 마음 놓고 양심적인 재판을 할 수 있겠나. 과연 범죄자를 수사할 수 있겠느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