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지난 24일 KAI 서울사무소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우주·항공분야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강구영 KAI 사장과 방승찬 ETRI 원장을 비롯한 양 기관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 기관은 KAI의 다양한 우주항공 제품 개발 경험과 ETRI의 뛰어난 연구 역량을 접목해 ▲6G 저궤도 통신위성 공동개발 및 검증 ▲우주·항공 및 국방 반도체 국산화 연구개발 ▲AAM 분야 공동연구 및 기체 활용에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강구영 KAI 사장(왼쪽)과 방승찬 ETRI 원장이 '우주·항공분야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KAI

양 기관은 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에 대한 전략적 기술협력으로 차세대 통신 핵심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검증하기로 했다.

저궤도 통신위성(고도 300~1500km)은 기존 이동통신 지상망의 제약을 극복해 산간·사막·해상·항공기 내 등 지구상 모든 곳에 통신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더불어 정지궤도(고도 약 3만 5800km) 통신위성 대비 지구와 가까워 전파 손실과 지연이 낮아 초공간·저지연 6G 통신의 핵심 요소로 여겨진다.

현재 스페이스 X, 아마존 등 글로벌 우주 기업이 본격적인 저궤도 통신위성 시장을 개척 중이다.

양 기관은 상호 협력으로 위성통신서비스의 해외 의존을 방지하고 국내 공공서비스 보장 등을 위한 독자적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기술 확보해 해외 시장 진출도 모색한다.

더불어 항공기, 우주 탐사선, 발사체 등에 핵심부품으로 활용되는 우주·항공 및 국방 반도체의 국산화 개발과 미래항공기체(AAM) 등 미래 사업 협력한다.

우주·항공 및 국방 반도체는 극한의 환경에서도 작동을 보장하는 첨단의 기술 집약적 반도체로, 높은 방사선 내성과 극단적인 온도 변화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요구된다. 현재 국내 우주·항공 및 국방 반도체 기술은 대부분 해외에 의존하고 있어, 기술 자립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특화 기술 연구개발을 하기로 했다.

공공 교통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ETRI의 AdAM-P(Advanced Air Mobility Platform), 드론용 5G 기술 등 미래 모빌리티 운항과 데이터링크 기술을 KAI가 개발중인 AAM을 활용해 실증하기로 했다.

강구영 KAI 사장은 “양 기관이 특화된 기술 분야의 상호협력으로 국가의 기반 인프라가 될 6G 저궤도 통신위성의 성공적 개발과 더불어 우주·항공·국방 반도체 기술과 미래 항공 모빌리티인 AAM 분야 공동연구 등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방승찬 ETRI 원장은 “양기관의 MOU 및 향후 기술협력이 우리나라의 6G 저궤도 위성통신 및 우주항공용 반도체 기술 등에 대한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교두보가 마련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