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28일 봄철 아프리카돼지열병 도내 유입 차단을 위해 사전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봄철은 야생멧돼지 번식기로 개체수와 활동 범위가 늘어나고,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야생멧돼지 발생이 가장 많아 양돈농가로 질병 전파 위험이 높은 시기이다.

열화상 예찰용 드론으로 야생멧돼지를 수색해 포획을 지원한다. 경남도

발생 현황을 보면 지난 2019년 9월~현재까지 봄철에 1564건(37%)이 발생했다.

경남도는 ▲양돈농장의 차단방역 실태 점검 ▲야생멧돼지 포획·폐사체 상시 검사체계 강화 등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대책을 강화한다.

도는 시군 및 공동방제단 보유 소독차량(107대)을 동원해 양돈농장 주변 도로, 방역취약지역에 대해 소독을 하도록 하고, 아프리카돼지열병 전파 위험이 높은 생축·분뇨 운반차량에 대해 거점소독시설 소독 의무화를 준수하도록 위반 여부를 점검하기로 했다.

경북 등 발생 시도 인접 시군 양돈농장, 양돈밀집단지 등 발생 위험지역에 대해 8대 방역시설 설치 및 운영 현황, 방역수칙 준수 여부도 지속 점검한다.

지난 2월 경북 인접 산악지역에 소재한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입 위험이 높은 7개 시군 18개 양돈농장에 대해서 도·시군 합동점검으로 방역 조치가 미흡한 10개 농가를 적발했다.

더불어 도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전파 매개체인 야생멧돼지에 대해서도 방역을 강화한다.

도는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의 협조를 받아 드론을 활용한 야생동물 기피제 살포와 열화상 예찰용 드론으로 야생멧돼지 수색 및 포획 지원한다. 포획 개체 검사로 감염 야생멧돼지 색출과 발생지역 방역대 설정·관리로 야생멧돼지에 의한 바이러스 농장 유입을 사전 예방하기로 했다.

정창근 동물방역과장은 “경남도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비발생지역이지만 감염 야생멧돼지 검출지역이 점차 남하하고 있고, 봄철 야생멧돼지의 활동 증가로 도내 발생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양돈농가에 대해 “멧돼지 서식지 입산금지, 영농활동 자제, 방역시설 수시 점검, 농장 내·외부 소독 등 농장 방역관리에 철저를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