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부산 사상구에서 깊이 4~5m의 대형 싱크홀(땅 꺼짐)이 발생한 지 하루 만인 14일 오전 바로 인근에서 또다시 지름 3m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했다.

두 곳 모두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구간이다. 내년 개통 예정이다.

시민들은 풍수해 등 지상의 사고는 대체로 예견을 할 수 있지만 발 밑의 사고는 예상을 할 수 없다며 불안해 하고 있다. 이 공사 구간에서는 지난 2023년부터 지금까지 14번의 싱크홀이 발생했다. 그동안 기관들의 예방책이 별다른 효과가 없어 전방위 정밀조사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4일 오전 7시쯤 부산 사상구 감전동 새벽시장 맞은편 차도에서 발생한 싱크홀. 이 싱크홀은 전날 발생한 싱크홀과 불과 200여m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 부산 사상구

부산 사상구와 경찰·소방 등에 따르면 14일 오전 7시쯤 사상구 감전동 새벽시장 맞은편 차도에서 싱크홀이 발생했다. 사고 발생 지점은 사상~하단선 도시철도 공사 현장 인근으로 지난 13일 싱크홀이 발생한 현장과 200여m 떨어져 있다.

이날 싱크홀은 13일 발생한 싱크홀로 공사 현장을 순찰하던 사상~하단선 시공사 직원이 발견했다.

부산교통공사는 곧바로 도로 균열과 지반 침하를 확인하고 일대 교통을 통제하고 지반을 파내 원인 분석에 나섰다.

공사는 일단 노후한 측구(배수로)에서 지하수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3일 발생한 싱크홀은 하수 박스와 통신시설 연결부의 장기간 누수가 원인이었다.

문제는 이틀 연속 발생한 두 싱크홀에서 명확한 원인과 공통점을 발견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는 이유다.

SNS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사상 지하철 구간은 공사가 끝날 때까지 우회도로를 찾아야 하겠다"는 등 기피 지역으로 거론되고 있다.

두 개의 싱크홀이 사상~하단선 1공구 구간에 위치하지만 13일의 싱크홀은 도시철도 굴착 공사가 진행 중이고 이날 발생한 싱크홀은 흙 메우기까지 모든 공정이 마무리된 상태다.

공사와 부산시는 싱크홀 발생이 도시철도 공사와 연관성이 떨어진다는 입장이지만 전문가들은 이 공사가 직간접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한다.

전문가듷은 싱크홀 발생 구간에 설치된 지하 매설물들이 앞서 지하 공동을 만들었고, 공사로 인해 지하수 흐름이 바뀌면서 싱크홀이나 지반침하를 유발했다는 주장이다. 공사 지점과 지하매설물 거리가 몇m로 매우 가깝다는 점늘 든다.

부산시는 안전대책회의를 열어 사상~하단선 일대 싱크홀 대응 방침을 세우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