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절기 이야기] 오늘(7일)은 소서, 김매기 하는 철입니다

정창현 기자 승인 2022.07.07 12:36 | 최종 수정 2024.07.06 12:24 의견 0

오늘은 작은 여름더위가 시작된다는 소서(小暑)입니다. 그런데 작은 더위가 아니라 10여일 간 전국이 33~38도를 오르내리는 무더위로 푹푹 찝니다.

소서는 24절기 중 11번째에 해당하는데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의 절기이고 음력으로는 6월, 양력으로는 7월 5~7일에 듭니다.

폭염이 시작되고 과일이 커가고 익는다는 것 외엔 딱히 다른 절기에 비해 풍속 등 얘깃거리는 많지 않습니다.

이 시기에는 여름 장마가 시작됩니다. 장마전선이 한반도 중부 지방을 가로질러 장기간 머무르기 때문에 비가 많이 내려 습도도 높습니다.

절기를 만든 중국에선 소서 직후 15일을 3후(三侯)로 나누었습니다.

우리의 고려사(高麗史)는 이를 따라 초후(初候)엔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고, 차후(次候)에는 귀뚜라미가 벽에서 살며, 말후(末候)엔 매가 새를 잡기 시작한다고 적고 있습니다.

이때는 하지(올해는 6월 21일) 무렵 논에 심은 모가 뿌리를 내려 파릇파릇해지는 시기입니다. 옛날 농가에서는 모를 낸 15~20일 뒤인 소서 무렵에 초벌논매기를 했습니다. 이를 달리 김매기라고 하는데, 모내기를 한 무논(물이 있는 논)에 나는 작은 잡풀을 손으로 긁어 논바닥의 진흙 속에 묻는 작업입니다.

이때는 또 논둑과 밭두렁에 풀이 많이 납니다. 장마철을 맞아 풀이 금방 자라기 때문에 작은 모가 치이지 않고 햇빛을 많이 받도록 풀을 주기적으로 베어 줘야 합니다. 예전엔 이 풀을 퇴비용으로 활용했지만 농약을 치지 않을 땐 소꼴(소 등에게 먹이는 풀)로 이용했습니다.

보리를 베어낸 밭엔 콩, 조, 팥 등을 심었습니다. 요즘은 파종 시기가 빨라져 이미 심어 무럭무럭 자라지요.

농가월령가에 이 때의 풍경을 잘 묘사했습니다.

'젊은이 하는 일이 김매기 뿐이로다. 논밭을 갈마들여(서로 번갈아 들어) 삼사차 돌려 맬 제 날 새면 호미 들고 긴긴 해 쉴 새 없이 땀 흘려 흙이 젖고 숨막혀 기진할 듯'.

농부들은 "돌아서면 잡초가 한뼘씩 자란다"며 혀를 내둘렀다고 합니다. 잦은 비 때문입니다.

채소와 과일도 풍요로운 절기입니다.

제철 채소인 감자, 오이, 애호박 등이 나오고 제철 과일인 자두, 수박, 참외, 토마토 등도 따먹습니다.

냇가에서는 다슬기도 잘 자라 잡은 뒤 삶아서 속을 뽑아먹습니다. 수확한 밀과 보리도 도정해 이때부터 먹었습니다.

모두가 제철 음식이니 영양가도 꽤 풍부합니다.

대체로 음력 6월은 농사철 치고는 한가한 편이라서 도정한 밀가루 음식을 많이 해먹었다고 전합니다. 요즘 최고의 별미로 자리한 국수나 수제비를 말합니다.

모내기는 보통 하지 때 다 끝내지만, 옛날엔 소서 때 늦은 모내기를 하기로 했습니다.

농가에서는 모내기 철을 ‘하지 전 3일, 하지 후 3일’이라고 말하는데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하신리에서는 소서 때가 모를 심는 적기라고 한답니다.

모를 늦게 심은 이유가 옛날엔 논에도 보리를 많이 심어 보리를 수확한 뒤에 모내기를 했지요. 농번기에 일손이 모자라 두레(마을에서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해 만든 조직)를 만들었는데 농가 순서대로 모를 내기에 모를 늦게심는 농가가 있었습니다.

소서 절기 속담으로는 '소서가 넘으면 새 각시도 모 심는다'가 있는데, 늦은 모내기라 빨리 끝내야 한다는 뜻입니다.

햇볕과 관련해서는 '오뉴월 병아리 하루 볕이 새롭다'거나 '오뉴월 볕 하루만 더 쬐어도 낫다'가 있습니다. 음력 오뉴월에는 햇볕이 좋아 하루 먼저 햇볕을 쬐면 그만큼 더 자란다는 뜻입니다.

저작권자 ⓒ 더경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