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환경부 공모 ‘제3차 람사르습지도시 인증 국내 후보지’에 김해 화포천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국내 후보지로 선정된 김해 화포천은 오는 2025년 짐바브웨에서 열리는 제15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최종 인증을 받을 예정이다.
람사르습지도시는 람사르습지 인근에 위치하고 습지보전 및 현명한 이용에 지역사회가 모범적으로 참여한 도시나 마을을 국제적으로 인증하는 제도다. 국내에는 7곳이 있고 도내에는 창녕 우포늪이 지난 2018년 람사르 습지도시로 인증됐다.
경남 김해 화포천 전경
국내의 람사르습지도시는 ▲경남-창녕 우포늪 ▲강원 인제-대암산 용늪 ▲제주-동백동산 습지 ▲전남-순천만 갯벌 ▲고창-운곡습지 ▲충남-서천 갯벌 ▲서귀포-물영아리 오름 등 이다.
람사르습지도시로 인증을 받은 지역은 지역 농·수산물이나 생산품 판촉, 생태관광 활성화 프로그램 등에 람사르 고유의 인증 상표(브랜드)를 활용할 수 있고, 습지보전 및 생태관광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국비도 지원받을 수 있다.
한편 김해 화포천은 국내 최대의 하천형 습지로 생물다양성이 풍부하고 생태적 가치가 우수한 지역이다. 2017년 국가 습지보호지역, 2018년 환경부 생태관광지역으로 지정된 데 이어 이번 람사르습지도시 후보지로 선정됨에 따라 친환경 생태 도시로서의 위상을 더욱더 확고히 하게 됐다.
이상 경남도 제공
현재 화포천에는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인 수달, 황새와 천연기념물인 독수리 등 860여 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낙동강 배후습지로 우포늪, 주남저수지, 낙동강하구를 잇는 철새 이동 구간 및 거점 지역이다.
민기식 경남도 환경산림국 국장은 “이번 람사르습지도시 후보지 선정은 화포천생태관광협회 등 지역 주민의 열렬한 지지와 성원으로 이루어낸 값진 결과”라며 “앞으로 김해시와 함께 화포천 습지보전관리센터 건립 등 명품 람사르습지도시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