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5일 경남도청에서 ‘사천공항 기능재편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보고회에는 도 관련부서, 서부권 10개 시군과 한국공항공사 사천지사, 공군 제3훈련비행단, 경남테크노파크, 한국항공대학교, 한국교통연구원, 글로벌항공우주산업학회 등 관계기관·전문가 20여 명이 참석해 사천공항의 미래 비전을 논의했다.

사천공항 전경. 경남도

도는 지난해 4월부터 우주항공청 개청, 경남항공우주산단, 남해안 관광벨트 등 지역 특성과 남부내륙철도 개통 등 교통 여건 변화를 반영해 사천공항의 기능 재편으로 공항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2026~ 2030년)에 반영하기 위한 용역을 했다.

사천공항은 지역 경제의 중요한 교통 거점으로서 ▲우주항공청 설립과 우주항공복합도시 활성화 ▲K-방산과 항공 유지보수(MRO) 산업의 성장 ▲남해안권 관광 개발 등 발전 가능성에 따라 향후 국제선 항공운송 수요 증가에 대비하고, 공항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제공항 승격이 필요하다고 제기돼왔다.

경남 사천공항 기능재편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모습. 경남도

용역 책임자는 사천공항의 국제공항 승격을 위해 1단계로 여객터미널 증축과 세관·출입국·검역(CIQ) 시설 도입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부정기편 운항으로 국제공항 기능을 검증하고, 2단계로는 계류장 확장, 여객·화물터미널 신축, 활주로 연장 등 공항시설을 단계별로 확장해 나가자는 방안을 제시했다.

우주항공산업과 연계된 항공산업의 발전, 지역 관광 활성화 등 다양한 관점에서 사천공항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국제 경쟁력을 높일 방안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한편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은 한국교통연구원이 오는 31일까지 시·도의 공항개발 종합계획 사업제안서를 접수해 여건 분석, 수요 전망, 개발방향 검토를 거쳐 국토교통부에서 올해 12월 확정한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사천공항이 활성화되어 국제공항으로 승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 경제와 관광 산업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