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 가운데 가장 먼저 출마를 선언했던 김두관 전 민주당 의원(전 남해군수, 경남도지사)이 14일 당내 대선 경선 규칙에 반발하며 경선 참여 거부를 선언했다. 대선 불출마 선언을 하지 않았다.

민주당은 이날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을 확정했다.

비명계 대선 주자들이 “이재명 전 대표에게만 유리한 방식”이라며 반발했으나 민주당은 96.56%라는 압도적 찬성으로 경선 룰을 결정했다.

경남도지사를 역임했던 김두관 전 민주당 의원. 페이스북

김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죄송하고 부끄럽다. 하지만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린 민주당 경선에 참여할 없다"며 이 같이 밝혔다.

민주당 특별당규위원회는 투표에 앞서 지난 12일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해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경선을 치르겠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민주당은 2002년보다 후퇴했다. 국민을 믿고 유불리를 따지지 않는 것이 노무현 정신이고, 포용과 통합이 김대중 정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민주당의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 18세 이상 국민 누구나 참여하는 ‘완전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했는데 당 선관위에서 후보 측과 어떤 설명이나 논의도 없이 ‘불가’를 발표했다”며 “후보들과 협의 없는 경선 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그동안 비명계 주자들을 중심으로 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었다.

김 전 의원은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배제한 민주당 경선 참여를 거부한다”며 “진정 민주당의 미래의 모습이 무엇인지, 대한민국의 정치발전이 무엇인지,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고 국민의 희망을 만드는 일이 무엇인지 고민하려고 한다"고 했다.

반면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이 무너진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다. 국민들께 실망을 드렸다는 점이 더 뼈 아프다"고 밝혔다.

이어 "그럼에도 당원이 결정한 만큼 무겁게 받아들인다"며 경선 룰 수용 뜻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