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경남뉴스는 일상에서 자주 쓰지만 헷갈리는 낱말과 문구를 찾아 독자와 함께 풀어보는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지도편달과 함께 좋은 사례 제보도 부탁드립니다. 편집자 주
"여인네가 뭐야, 여성으로 바꾸든지"
기자가 쓴 '봄꽃 순례' 라일락꽃 편에서 향기가 여인네 향수 냄새와 같다고 썼더니 아내가 "썩 좋은 표현이 아니다"라며 한 말입니다.
얼마 전에도 여성의 뜻인 '아낙네' 단어를 구사했다가 비슷한 말을 들었습니다. 요즘엔 아낙네 단어를 듣기 어렵지만 '아낙네들이 빨래터에서 빨래방망이를 두드리며 빨래를 하고 있다'는 문장처럼 예전엔 자주 쓰인 낱말입니다.
여인네, 아낙네의 뜻을 살펴보겠습니다. 같은 접미사 '~네'자가 붙는 여편네도 알아보고, 이들 단어가 부녀자와 여성과는 어떻게 연관돼 있는지 구별해 봅니다.
먼저 여인네입니다.
여인네의 뜻은 일반적인 여인을 두루 이르는 말입니다.
'여인(女人)'과 사람을 의미하는 접미사 '~네'가 합쳐진 파생어입니다.
여자(女子), 여성(女性), 여인(女人)과 바꿔 써도 됩니다.
참고로 여자는 여성으로 태어난 일반 사람이고, 여성은 성(性)을 구별해 남성의 반대인 여자이자 성년 여자입니다. 여인은 어른이 된 여자를 말합니다. 여자는 나이 구분없이 포괄적이고, 여성과 여인은 성년을 말합니다. 성년이 안 된 여자는 소녀라고 하지요.
다음은 아낙네입니다.
아낙네는 '결혼한 남의 집 부녀자'를 통칭합니다. 아낙, 여자(성인), 여성, 여인을 같이 쓸 수 있습니다. 반대말은 남자(성인), 남성, 남편입니다.
아낙네는 여성을 비하하는 말인 여편내와 비슷하게 결혼한 여자를 낮잡아 부르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시끄럽게 아낙네들이 모여 떠들고 있다'가 있습니다.
아낙네의 낱말 구조를 알아봅니다.
아낙네는 '아낙'이란 어근에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네'가 결합된 파생어입니다. '~네'가 붙지 않은 아낙을 독립적으로도 사용합니다.
아낙은 원래 사람이 아닌 특정 지역, 즉 장소의 뜻이었습니다. 이후 장소와 사람을 동시에 뜻하다가 '안뜰(장소)에 사는 부녀자'의 의미로 정착됐습니다.
이후 접미사 '~네'가 붙어 아낙네가 되었습니다.
아낙은 옛말에서 '안'과 '악으로 구별돼 '안악'으로 쓰였습니다. '안악'의 뜻은 '부녀자가 거처하는 조그마한 안뜰'이었습니다. 접미사 '~네'가 붙어 '안악네'가 됐습니다.
이어 안악네는 시대의 표기법에 따라 통속적(세상에 널리 통하는 것)으로 '아낙네'로 정착돼 오늘에 이릅니다. 19세기 자료에 '아낙'과 아낙네'가 나와 이 무렵에 생긴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아내가 '안'과 '해'로 분석되고, '안해'로 쓰인 것과 비슷합니다. 또 남자의 아내를 뜻하는 '안 사람'의 '안'처럼 '내(內)'의 뜻을 가집니다. 내는 여성을 상징합니다.
아낙네란 단어는 대중가요 칠갑산에서 '콩밭 매는 아낙네야 베적삼이 흠뻑 젖는다'는 가사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여편네란 말은 '결혼해 남편이 있는 여자를 낮잡아 부르는 말'입니다. 특정 남편의 아내입니다. 따라서 반대는 남정네, 남편입니다.
남정네는 자기 남편을 낮춰 부르는 것이고, 남편은 남자 배우자의 일반 호칭입니다.
예를 들어 "그 여편네 참 대책없어"라면 상대방의 아내를 낮춰 부르는 말이고, "그 남정네가 하는 일이 그렇지"라고 하면 상대방의 남편을 낮춰 부르는 것입니다.
여인네와 아낙네의 낱말 구조와 같이 '여편'과 '~네'로 구분됩니다.
또 부녀자(婦女子)가 있는데, '결혼한 여자와 성숙한 여자'를 통틀어 하는 말입니다.
예컨대 아낙네와 여편네는 부녀자이지만 뜻은 사뭇 다릅니다.
위에서 설명했지만 아낙네는 '남의 집 부녀자를 이르는 말'이고 여편네는 '결혼한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입니다.
여인네, 아낙네, 여편네, 부녀자를 몇 개 분야로 구분해 봅니다.
여인네는 일반적인 여인의 의미로 미혼도 포함돼 결혼한 아낙네, 여편네, 부녀자와 구분될 때가 있습니다.
또 여편네는 낮춘 말인데, 아낙네도 낮춘 의미를 가졌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아낙네는 '남의 집 여자'를 통칭하지만 여편네는 '특정 남자의 아내'를 지칭합니다.
이어 '~네'에 관해 살펴봅니다.
'~네'는 '사람'이나 '집단'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접미사입니다. '우리네'가 사례입니다.
여인네나 아낙네는 여인과 아낙에 '~네'가 붙어 부녀자들을 집합적으로 칭하는 의미가 됐습니다.
원래 '~네'는 15세기에 존칭 표시 명사에 붙는 복수접미사였지만 근대국어에 와서 '평칭(平稱·높이지도 낮추지도 않고 평범하게 부름)'이나 '자기 겸양'을 나타내는 말에 쓰여 당초의 복수의 의미보다 낮춤의 의미로 자리잡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