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오신날을 맞아 불교와 관련한 음식을 알아보자.
불가에서는 먹기를 금하는 사찰 음식이 있다. 오신채(五辛菜)다. 맵고 자극이 강한 음식으로 마늘, 파, 달래, 부추, 그리고 흥거(무릇)다. 수행에 큰 방해가 된다고 한다.
흥거는 파나 마늘과 비슷한데 봄에 비늘줄기에서 마늘잎 모양의 잎 2~3개가 난다.
오신채는 냄새가 자극적이고도 따뜻한 성질을 지녀 몸에 양기(陽氣)를 불어넣는다. 정력을 강화하고 성욕을 일으킨다는 뜻이다.
불교 경전인 수능엄경은 ‘오신채를 익혀 먹으면 음란한 마음이 생기고, 날것으로 먹으면 3가지 독심을 일어나게 한다’고 적고 있다. 3가지 독심은 탐(貪·욕심), 진(瞋·성냄), 치(癡·어리석음)를 일컫는다.
따라서 한국, 중국, 일본 등 선종불교가 강한 곳에서는 오신채를 엄격하게 금지한다. 중국 양무제 때는 법으로 정해 먹지 못하게 했다. 반면 돌아다니며 탁발(얻어 먹는 것)하는 문화가 남아 있는 남방불교에서는 신자들이 주는 음식을 다 먹어야 하는 수행법이 자리를 잡아 오신채를 금하지 않는다.
오신채 중에서 마늘의 양기가 가장 강하다. 예로부터 남자의 정력 강화 식품으로 알려져 왔다. 한의서에서는 마늘을 흥양도(興陽道), 즉 양기를 높인다는 뜻으로 쓰였다.
고대 이집트나 그리스, 로마시대에서는 몸안에 잠재된 에너지(힘과 기)를 최대한 짜내기 위해 대규모 토목공사에 동원된 노예들에게 마늘을 많이 먹였다고 전해진다.
또 일부다처제로 성생활 횟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은 중동의 남성들도 매일 마늘을 먹는다고 한다. 호색한 카사노바도 마늘을 즐겨 먹었던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동국대 정지천 경기 고양시 일산한방병원장은 “마늘은 정력제를 넘어서 최음제(催淫劑·성욕 촉진)로도 작용한다”면서 “한의학뿐 아니라 서양의학에서도 마늘은 성호르몬 분비와 혈액 순환 촉진의 대표 음식으로 꼽힌다”고 설명했다.
최음제는 애용하면 부작용이 심하고 만성 중독 우려가 크다. 에너지장을 흐트러뜨리고 기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는 의미다.
특히 마늘은 에너지를 성기로 모이게 하는데, 정력이 분출이 되도록 자극해 에너지를 소진시킨다. 정력을 과하게 쓰면 몸을 망친다는 말이다. 평상시 몸에 좋은 음식들을 먹는 왕에서 보듯, 여러 명의 후궁을 둬 일찍 죽었다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씨만 뿌려 놓으면 잘 자라는 부추도 기양초(起陽草·양기를 일으키는 풀)란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 정력제로 꼽힌다.
흥거는 국내에선 자주 보기 어렵고 중국 남부나 대만에서 많이 난다. 불가에서는 흥거가 진화한 것이 양파라고 한다. 스님들은 양파가 오신채는 아니지만 먹지 않는다.
고추도 맵고 열성이 강한 음식이지만 강한 향이 없어 수행을 방해할 정도는 아니라고 한다. 이런 이유로 오신채에서 빠져 있다.
오신채를 통해서도 알 수 있는 것은, 음식을 음양의 기준으로 보면 음기가 많은 채소만 먹으면 몸이 차가워지고 양기가 강한 인삼이나 생강, 더덕을 먹으면 몸이 더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인이 보다 성질이 급한 이유가 오신채를 비롯한 자극적인 음식을 상용해서라는 주장에도 설득력은 있다. 기가 센 음식은 그만큼 인체의 에너지장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음식은 체온뿐 아니라 기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잎사귀 식물을 많이 먹으면 음기가 많아져 내성적이고 우울해지기 쉽고, 감자 등 땅속 뿌리식물을 많이 먹으면 양기가 많아져 외향적이고 동적이 된다.
스님들이 녹차를 많이 마시는 것은 머리를 맑게 하고 질병을 물리치기도 하지만 음기가 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너무 음기가 강하면 냉해지므로 구기자, 생강차 등 몸을 덥히는 차를 조화롭게 마시는 것이 좋다
직업의 유형에 따른 음식 섭취도 달라야 한다. 수행을 하는 사람들은 약간의 음이 강한 음식을, 신체 운동이 많은 운동선수는 양기가 많은 고기 등의 음식이 도움이 된다.
불가 음식에서 배우 것은 먹는 것에서도 '수행의 문제'가 따른다는 것이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조리를 하고, 즐겁게 식사를 해야 한다. 음식을 나르는 사람도 맑고 밝아야 음식에서 좋은 기가 흐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