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고어에서 배우는 지혜] 어미닭과 알 속의 병아리 이야기 '줄탁동기(啐啄同機)'

정기홍 기자 승인 2022.08.15 20:06 | 최종 수정 2022.08.16 13:38 의견 0

병아리의 탄생과 관련된 사자성어 '줄탁동기(啐啄同機)'는 글을 쓸 때 아니면 잘 안 씁니다. 잘 안 쓴다는 것은 보통의 일상에서 인용하기가 어려워 잘 안 쓴다는 말입니다. 고상한 글을 쓰려고 할 때 더러 인용을 하지요.

하지만 이 사자성어는 아주 일상적인 뜻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풀이를 하면 '새끼가 알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알 속의 새끼와 밖의 어미가 함께 알껍데기를 쪼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줄탁동시(啐啄同時)라고도 씁니다.

본래 중국의 민간에서 써오던 말인데. 송나라 때 선종 불교의 5대 종파인 임제종의 화두집 벽암록에서 언급하면서 이후 불교에서 중요한 화두(話頭)가 됐습니다. 화두란 '이야기의 첫머리'란 뜻입니다. 요즘은 자주 쓰입니다.

줄탁동기란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서로 협력해야 함을 이르는 말이지요.

어미닭이 알 속에 있는 새끼를 도와 껍데기를 쪼아 놓은 모습. 성호육모장 유튜브 캡처

알을 품고 있는 어미닭과 알에서 갓 나온 병아리들. 성호육모장 유튜브 캡처

암닭이 품은 알 속에서 병아리가 21일 동안 자라서 바야흐로 바깥 세상으로 나오기 위해 자신의 부리로 알벽을 쪼는 것을 '줄(啐=口+卒)'이라고 합니다.

알을 내내 품고 있던 어미닭이 알 속의 병아리의 기척을 인지하고서 바깥에서 알벽을 쪼아 알 깨는 것을 돕지요. 이를 '탁(啄=口+豕)'이라고 합니다.

'줄탁'의 동기(同機)란 알 안의 병아리 부리와 알 밖의 어미닭 부리가 순간 일치하는 순간, 그 알 껍데기가 깨지는 순간을 이르는 말입니다.

아름다운 장면이지요.

하지만 어미닭은 병아리가 껍데기를 깨고 나오려는데 도움만 줄 뿐 병아리 스스로가 깨고 나와야 합니다. 병아리가 스스로 나오려는 몸부림이 없으면 어미닭은 병아리의 기척을 알 수 없는 거지요.

사람의 만남이나 헤어짐에서도 줄탁의 의미로 새기며 산다면 아름다울 것 같습니다.

저작권자 ⓒ 더경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