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업을 중시하는 더경남뉴스가 농축업과 어업과 관련한 속담(俗談)을 찾아 그 속담에 얽힌 다양한 의미를 알아봅니다. 속담은 민간에 전해지는 짧은 말로 그 속엔 풍자와 비판, 교훈 등을 지니고 있지요. 어떤 생활의 지혜가 담겼는지를 살펴봅니다. 편집자 주

'빠른 말이 뛰면 굼뜬 소도 간다' 속담은 '주위에 일을 잘하는 사람이 있으면, 자연히 그를 따라가기 마련'이라는 뜻입니다. '시너지 효과가 있다', '본(본보기) 받는다'는 말과 상통합니다.

말들이 달리는 모습. 교보생명 블로그 캡처

아다시피 말은 광장히 빠르고, 반면 소는 느립니다.

빠른 말은 자고이래로 최상의 전쟁 수단이었습니다. 몽골의 칭기즈칸이 세계에서 가장 큰 제국을 거느린 것도 빠른 말의 기동력을 잘 이용했기 때문이지요.

이러한 말의 민첩성도 의미와 가치가 있지만, 순한 소에도 긍정적인 데가 많습니다.

이 둘을 비교하는 사자성어도 있습니다.

말과 관련한 마보십리(馬步十里)는 '말은 단번에 10리(4km)를 달려간다'는 뜻입니다. 한자를 풀면 말 마(馬), 걸음 보(步), 일천 천(千), 마을 리(里)입니다.

반면 '우보천리(牛步千里)'는 '우직한 소의 걸음으로 천리를 간다'는 뜻인데 꾸준히 성실하게 일하는 사람이 나중엔 만족스런 결과물을 내놓는다는 말입니다.

소 우(牛), 걸음 보(步), 일천 천(千), 마을 리(里)입니다.

정리하면 둘은 ▲천천히 뚜벅뚜벅 걸어 천리길에 다다른다 ▲ 단번에 10리를 가지만 그 다음은 못 가거나 안 간다 등 상반된 뜻을 담고 있습니다.

참고로 천리란 단어가 들어간 '일사천리(一瀉千里)'는 ‘강물이 쏟아져 단번에 천리를 간다’는 뜻입니다.

어쨌거나 마보심리든 우보천리든, 아니면 일사천리든 게으름을 피우지 않고 자신의 심성에 맞춰 일을 하면 성과물을 도출할 수 있겠지요. 각기의 타입으로 성공한 사례는 주위에서 어렵지 않게 봅니다.

덧붙이자면,

요즘은 1960~1970년대처럼 획일적인 틀을 만들어 "나를 따르라"고 하는 시대는 아닙니다. 개성에 기반한 다양성이 강조되고 중시되면서 각자 장기를 구사합니다. 다양성은 창조성과도 연결되겠지요.

물론 경제 성장기처럼 선두의 깃발과 구호에 따라 일사분란하게 일을 했던 때도 있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지금의 10대 경제대국을 만들었지요. 없이 살던 당시엔 일사분란함이 먹힌 시대입니다.

오늘 소개한 '빠른 말이 뛰면 굼뜬 소도 간다'는 속담은 남이 잘 하는 것을 따라서 한다는 긍정의 뜻을 담고 있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선한 영향력'이란 말과도 상통합니다.

참고로 주관 없이 남이 한다고 따라서 하는 뜻을 가진 속담을 모아 보았습니다.

'남이 장 간다고 하니 거름 지고 나선다'거나 '남이 장에 가니 저도 덩달아 장에 간다', '남이 서울 간다니 저도 간단다', '남이 은장도를 차니 나는 식칼을 낀다' 등인데 줏대가 없는 것을 지적하는 속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