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아인 박종한 선생 기념사업회 추진위원회가 주최하고 경상국립대 진주학연구센터와 진주연합차인회가 주관한 '아인 박종한 선생 탄신 100주년 기념행사'가 17일 경남 진주시 경상국립대 가좌캠퍼스 GNU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대아고 학생들이 17일 행사장에 나와 아인 박종한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는 방문객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 아인 선생은 대아중고를 설립했다.

아인 선생은 1925년 4월 진주에서 태어나 2012년 5월 작고했다.

아인 선생은 일제강점기에 항일단체인 '반진단(般震團)'을 결성해 항일운동에 나섰고, 대아중고를 설립해 '오민교육(五民敎育)' 철학을 실천했다.

더불어 국내 처음으로 '차의 날'을 만들고 한국오성다도회를 결성하는 등 차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또 아인 선생은 민학회(民學會) 결성, 남명제(南冥祭) 창설 등으로 조선시대 대표적 실천유학자 남명 조식(曺植) 선생의 '경의사상(敬義思想)'을 현대 사학(私學) 정신의 요체로 일으켜 세웠다.

이날 행사는 오전에는 제1부 헌다례(獻茶禮) 및 기념식, 오후에 제2부 학술발표회로 진행됐다.

한 방문객이 아인 선생 추모사를 읽고 있다.

행사장에 마련된 차 시음 코너에서 다도회 회원들이 방문객들에게 차를 따라주고 있다. 시음 코너는 한국오성다도회와 진주연합차인회에서 마련했다.

아인 선생과 관련한 전시 코너. 이곳엔 다기와 서(글), 화(그림), 소장품 등이 전시돼 아인 선생의 생전 생활상을 보여줬다.

전각 예술가 김충열 작가가 행사장에 나와 자신의 작품을 방문객에게 소개했다. 방문객들이 각종 전각을 실은 책자를 넘기며 작품을 감상하고 있다.

권순기 전 경상국립대 총장이 행사장에 마련된 차 시음장에서 '말차'를 마시고 있다.

이날 행사장에는 차와 관련한 행사는 물론 진주가 전국적으로 자랑하는 소목과 도자기, 전각 예술품을 접할 수 있는 코너도 마련돼 행사를 더 풍성하게 했다. 방문객들은 이들 작품에 큰 관심을 보였다.

행사 내내 GNU컨벤션센터 로비에서는 한국오성다도회와 진주연합차인회가 준비한 차 시음이 진행됐다.

또 아인 선생과 관련한 다기, 서(글), 화(그림) 등과 소장품이 전시돼 선생의 생전 자취를 되새겼다.

더불어 예술계에서는 찻사발 등의 도자기 명장인 한완수 선생 작품, 전국적으로 유명한 진주 소목 작품, 전각 예술가인 김충열 작가의 전각도장 작품을 현장 전시했다.

1부 행사장 무대에서 아인 박종한 선생 추모 공연이 진행되고 있다. 아인 선생이 주창한 '오민교육' 개념도와 아인 선생 신위 등 여러 신위가 걸려 있다.

1부의 시작은 벽사(辟邪·사악한 귀신 물리침) 의식(강신무(降神巫) 및 강신)과 함께 공연이 진행됐다.

아인 선생의 제자 강동옥 씨의 풍류춤연구소 회원들이 오민으로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허물고 너와 나를 넘어 한결에 한민족 우리가 되자는 메시지를 담은 공연을 펄쳤다.

이어 헌다례(獻茶禮)와 헌례(초헌례, 아헌례, 종헌례)가 진행됐다.

초헌례는 심성재 전 대아고 2대 교장, 정경두 전 국방장관, 정규석 대아고 교장, 권진회 경상국립대 총장, 정유천 대아고 학생회장이 함께 맡았다.

헌다례(獻茶禮)와 초헌례를 지내고 있다. 맨 오른쪽은 심성재 전 대아고 교장(2대), 맨 왼쪽은 정유천 대아고 학생회장이다.

심성재 전 대아고 교장(2대)이 안내를 받으며 아인 선생의 재단에 차를 올리고 있다.

권진회 경상국립대 총장이 아인 선생 재단에 정성스레 차를 올리고 있다.

이어 공연이 시작됐다.

아인 선생을 기리는 기념 무대로 찬아인가(讚亞人歌·가야금시조병창 김현숙)와 오민락(김상철, 박채란, 강성인, 김현숙) 공연이 이어졌다.

아인 선생을 찬양하는 '찬아인가(讚亞人歌)' 공연 모습. 김현숙 씨가 가야금시조병창을 하고 있다.

오민락 공연 모습. 김상철, 박채란, 강성인, 김현숙 씨가 연주를 하고 있다.

사전 공연이 마무리 되고 이날 메인 행사인 개회식이 열렸다.

행사장 참석자들이 일어나 애국가를 부르고 있다.

박군자 아인 박종한 기념사업회 이사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심재원 진주연합차인회 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조규일 진주시장이 격려사를 하는 모습

권진회 경상국립대 총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심성재 전 대아고 2대 교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아인 박종한 기념사업회 박군자 이사장이 심성재 전 대아고 2대 교장에게 공로패를 전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아인 박종한 기념사업회에서 정유천 대아고 학생회장에게 장학금을 전달하고 있다.

행사장에 장엄하게 울려퍼진 섹소폰 축가연 모습

대아고 학생들이 교가를 합창하고 있다. 아인 선생은 대아중고를 설립했다.

■ 2부 학술발표회

경주와 울산 한국오성다회 회원들이 학술회 시작에 앞서 고예정류 오성다법을 시연하고 있다.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두 여성이 정성스럽게 차를 우려내고 있다.

경상국립대 국어국문학과 강희근 명예교수가 '대아고 국혼교육 59년과 그 과제'에 대해 발표를 하고 있다.

추전 김화수 다인이 아인 선생 탄신 100주년을 기념한 한시를 낭독하고 있다.

경상국립대 중어중문학과 김덕환 명예교수가 아인 박종한 선생의 오민교육사상'을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경상국립대 일어교육과 권해주 교수가 오성다도, 경의정다도, 진주정신 등 아인 선생과 관련한 키워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장상훈 국립민속박물관장이 참석해 아인 선생의 오성다도 등과 연관한 차 문화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이상 정창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