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개구리가 파~알~짝!"···오늘(5일)은 동면 개구리가 긴 겨울잠을 깬다는 경칩(驚蟄)입니다

정창현 기자 승인 2024.03.05 12:30 | 최종 수정 2024.03.10 03:40 의견 0

오늘(5일)은 '땅속에서 동면하던 개구리가 깨어난다'는 경칩(驚蟄)입니다. 날이 풀린다는 말입니다. 24절기의 3번째 절기인데 직전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우수(雨水)와 '봄이 온다'는 춘분(春分) 사이의 절기입니다.

전국에 5~6일 비와 눈이 예보돼 있고, 진주를 포함한 남부 지역엔 많지는 않지만 밤부터 봄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경칩 절기엔 일교차가 10도 이상 커 감기 등 건강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경칩인 5일 아침, 비 내리는 경남 김해시 수로원 모습. 비구름 아래의 매화나무에서 봉오리와 꽃이 막 피어나 이미 봄이 왔음을 알리고 있다. 정화영 독자 제공

중국의 한서(漢書)는 경칩을 '계칩(啓蟄)'으로 썼습니다. '열 계(啓)', '벌레 칩(蟄)'입니다. 이후 한(漢)나라 때에 '계(啓)'가 한무제(漢武帝)의 이름이라며 '놀랄 경(驚)'으로 바꿔 써 경칩(驚蟄)으로 정해졌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맘 때엔 날이 풀려 개구리가 나온다고 말하지만, 대륙에서 내려온 한랭전선이 한반도를 통과하면서 천둥 번개가 칠때 잠에서 덜 깬 개구리, 뱀이 그 소리에 놀라 튀어나온다고도 합니다. 말하기를 좋아하는 호사가(好事家)들의 말로도 들립니다만 틀린 것도 아닌 듯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동면하던 동물은 음력 정월에 활동하기 시작하는데 절기로는 경칩에 해당하며, 음력 9월에는 동면을 시작하는데 절기로는 입동(立冬)에 해당한다"고 적고 있습니다.

중국의 예기(禮記)에도 “2월에는 식물의 싹을 보호하고 어린 동물을 기르며 고아들을 보살펴 기른다”고 기록돼 있습니다. 만물이 생동하는 때여서 연약한 생물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시기임을 뜻합니다.

조선 왕실에서는 왕이 농사의 본(本)을 보이는 '적전(籍田)'을 경칩이 지난 해일(亥日)에 선농제(先農祭)와 함께 행했고, 경칩 이후에는 갓 나온 벌레나 갓 자란 풀을 상하지 않도록 불을 놓지 말라는 금령(禁令)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조선의 성종실록(成宗實錄)에는 우수에는 삼밭을 갈고, 경칩에는 농기구를 정비하며, 춘분에는 올벼를 심는다고 해 농사를 본격 준비하는 절기로 소개했습니다.

예전 농촌에서는 경칩이 지나면 연못이나 웅덩이를 찾아다니며 개구리나 도롱뇽이 낳아놓은 알을 건져다 먹었다고 합니다. 이들 알이 허리 통증에 좋고 허약해진 몸을 보양한다고 여겼답니다.

경남 진주시 진성면 구천리 옛 경전선 철도 '와구터널' 아래의 얕은 구덩이 모습. 아직은 개구리 알이 없지만 조금 지나면 이런 곳에 개구리가 알을 낳는다. 정창현 기자

지봉유설에서는 경칩 무렵의 개구리 울음으로 여름 농사철의 수해를 점쳤던 풍속을 소개합니다. 개구리가 울지만 소리가 나지 않으면 농사철에 가물고, 개구리 소리가 나오면 물이 많아 여름철 수해가 날 것으로 여겼다네요. 개구리가 울면 비가 많이 내릴 징조라고 하지 않습니까? 청개구리 동화도 있고요.

봄비에 얼굴을 내민 개구리 모습. 두마리가 짝짓기를 하고 있는 듯하다. 경남 진주시 진성면 '탑골'이란 골짜기 냇가를 찾아 찍었다. 정창현 기자

또 이날(경칩)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믿어 벽에 흙을 덧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했습니다. 특히 흙벽을 바르면 빈대가 들어오지 못한다고 해 발랐다고 하네요. 빈대가 심한 집에서는 나무 재를 탄 물그릇을 방의 네 귀퉁이에 놓아두기도 했답니다.

또 조선시대 경칩 때는 가을에 주워 간직한 은행을 연인과 나눠먹으면서 은행나무 주위를 도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암수가 다른 은행나무는 붙어있어야 열매를 맺는다는 데서 비롯됐습니다. 요즘의 발렌타인데이이나 화이트데이와 같은 날입니다.

밭에서 자라는 보리 싹의 성장 상태를 보고 그해의 농사를 예측했다고 합니다.

또 고로쇠나무(단풍나무, 어름넝쿨)를 벤 뒤 나오는 수액(水液)을 마셨습니다. 지금은 고로쇠나무에 구멍을 뚫어 물을 받아 판매합니다.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생산돼 초봄, 짧은 한 철 '고로쇠 경제'를 만듭니다.

고로쇠 물은 위장병 등 속병과 성병에 효과가 있습니다. 경칩 때 물의 약효가 뛰어나고, 경칩이 지나면 물이 잘 나오지 않고 나와도 약효가 적습니다.

또 경칩 무렵엔 냉이, 달래, 쑥 등을 먹으며 겨우내 부족했던 칼슘, 비타민, 섬유질을 보충했다고 합니다.

저작권자 ⓒ 더경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