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오는 22일부터 6월 21일까지 도내 노후·위험 시설 1800곳을 대상으로 분야별 전문가와 유관기관 등과 함께 민관 합동 집중 안전점검을 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집중 안전점검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대한민국안전대전환, 집중안전점검’의 하나로, 지난 2015년부터 안전 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해 중앙부처, 지자체,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범정부 차원의 사전 예방활동이다.

지난해 산사태 위험지역 안전점검 모습. 경남도

주요 점검 대상은 취약시설, 최근 사고 발생 시설, 도민 관심 분야 등 위험성이 높은 시설 1800여 곳과 주민 신청제로 선정된 시설이다.

특히 최근 어린이 놀이시설 사고가 증가(전국 2020년 181건→2022년 263건) 하고 있어 키즈카페, 워터파크 포함 물놀이 시설은 전수 점검한다. 경남에서는 실내 놀이 제공 영업소(1000㎡ 이상, 6곳)와 물놀이 유원시설(워터파크 포함 20곳)을 점검하기로 했다.

또 노후되거나 안전에 취약한 시설인 산사태 위험지역, 교량, 건설공사장, 농어촌 민박·펜션, 출렁다리·집라인 등 신종 레저시설 등을 점검한다.

도는 시설물 점검반 편성 시 토목·건축·전기·가스 등 관련 분야 전문가를 50% 이상 참여시키고, 육안점검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열화상 카메라, 가스 누출탐지기, 철근 탐사기, 드론 등 첨단장비도 활용한다.

점검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시군 점검시설의 확인 점검과 행안부·경남도·시군 합동으로 표본 합동점검도 할 예정이며, 점검 결과 우수사례는 공유하기로 했다.

특히 점검결과 이상이 있는 시설은 사용제한, 보수·보강, 전문기관 정밀안전진단 의뢰 등 안전조치하고, 점검 후 보수가 필요한 시설은 정부에 특별교부세를 신청하는 등 후속 조치를 한다.

한편 도민들은 자율안전점검으로 이번 점검에 동참할 수 있다. '내 가정, 내 업소는 내가 지킨다'는 마음으로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은 자율안전점검표로 점검을 하면 된다.

주민들이 점검을 원하는 안전 취약시설물은 5월 31일까지 가까운 읍면동 사무소에 방문해 신청하거나, 안전신문고 앱으로도 신청할 수 있다.

박영준 경남도 사회재난과장은 “내실있고 꼼꼼한 점검으로 재해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해 도민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도민 모두가 관심을 갖고 자율안전점검과 주민점검 신청 등 안전실천운동에 동참해 주실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