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오는 23일 오후 3시 부산복지개발원 대회의실에서 '2022년 부산시 복지실태조사 최종 보고회'를 갖는다고 밝혔다.

복지실태조사는 국가통계승인에 따른 3차 조사로 지난 2018년 이후 2년마다 하고 있다. 조사 결과는 시민의 복지 인식 및 욕구 변화 등을 반영한 맞춤형 복지정책 개발과 복지예산의 효율적인 배분 및 집행에 활용된다.

이번 조사는 부산시 거주 2200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일반(가구 형태, 교육 수준 등) ▲가계경제(가구 소득, 지출, 부채 등) ▲건강과 의료(건강 상태, 돌봄 등) ▲공동체 및 삶의 질(삶의 만족도, 공동체 의식 등) ▲복지 인식 및 정책(복지정책 방향, 복지서비스 인지 및 이용 등) 등 8개 분야 125개 항목에 대한 가구 방문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특히 올해는 학계, 현장 전문가 등 의견을 수렴해 코로나19 관련 항목(일상변화 등)을 포함했다. 항목 통합, 변경 등 조사표를 대폭 수정해 대상 가구가 쉽게 응답할 수 있도록 했다.

조사 결과는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에 따라 통계작성 목적 이 외에는 사용할 수 없도록 엄격히 보호된다.

최종 보고회는 ▲부산시 복지실태조사 추진 경과 및 결과보고 ▲ 복지실태조사의 발전 및 활용 방안을 주제로 윤성호 동서대 교수, 공영숙 부산시 복지정책과 생활보장팀장, 정신모 만덕종합사회복지관 관장이 토론을 한 뒤 의견 청취 순으로 진행된다.

이선아 부산시 사회복지국장은 “이번 조사로 부산 시민의 복지 실태 및 욕구의 변화 추이 등 복지정책 수립에 필요한 실증적 기초자료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시민의 복지수준 변화 등을 파악해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완성도 높은 복지정책 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고, 신규 복지정책 수립 시 발표된 복지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