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경남뉴스가 일상에서 무심코, 대충 넘기는 말을 찾아 그 정확한 뜻을 짚어보겠습니다. 제대로 된 언어 생활은 일상을 편하게 하고, 말은 줄여쓰면 매우 경제적입니다. 동의보감은 두서없이 말이 많아지면 기(氣)를 쇠하게 한다고 적고 있습니다. 좋은 제보도 기다립니다. 한글 세대인 젊은층을 위한 코너이기도 합니다. 편집자 주

문명의 이기(利器·이로운 기기)가 생활에 편리함을 주지만 사고의 규모도 키웁니다. 최근 전남 무안공항서 178명이 숨진 안타까운 참사도 있었습니다.

인간이 하늘을 날지 못할 땐 경험하지 못하는 대형 사고입니다.

10일 아침 경남 함안군 군북면에서 발생한 쓰레기 재활용업체 화재 모습. 경남도소방본부

어제(10일) 아침 경남 함안의 쓰레기 재활용업체에서 큰 불이 났는데 다행히 정식 근무 시간이 아니어서 사람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합니다.

사고를 전한 언론매체 내용 중에 '인명 피해는 없었으며, 공장 내부 80t과 외부 80t 등 생활폐기물 160t이 모두 불에 탔다'는 문구가 있었는데, 불현듯 "인명의 뜻이 정확히 뭐지?"라는 의구심이 생기더군요.

'인명 피해'가 '다친 피해', '크게 다친 피해'인지 아니면 '사망한 피해'인지 혼돈되더군요.

이 기사에선 사고와 관련됐으니 사망 피해일 거라고 생각은 했지만, 확신은 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평소 이들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생각하면서 사고 상황에 따라 짐작해온 것도 사실입니다.

찾아 보니 인명(人命)의 뜻이 '사람의 목숨'으로 돼 있습니다. 한자로 사람 인(人), 목숨 명(命)입니다. 인명이란 단어는 목숨과 관련된 것입니다.

따라서 '인명 피해' 풀이는 '다친 것'이 아니라 '목숨을 잃은 피해'를 말하는 것으로 짐작됩니다.

교통 및 화재 사고, 자연재해 등과 관련한 언론 매체 기사에서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는 일단 '사망한 사람이 없었다'는 뜻으로 해석하는 것이 맞는다는 말이지요.

그런데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이 아닌, 누구나 참여하는 개방형 한국어사전인 '우리말샘'에선 '인명 피해'를 '생명을 잃거나 다치는 피해'로 넓게 해석합니다.

이는 '인명 피해'란 말이 인명(사람의 목숨)과 피해(손해를 입음)를 합친 말이기 때문입니다. 즉 표준국어대사전엔 '인명'과 '피해' 두 단어만 풀이하지, '인명 피해'란 단어 플이는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인명 피해'를 표준말로 좁게 해석하면 '사람 목숨 피해'인데 이는 목숨(명)과 관련된 것이지요. 원칙으론 '사람이 사망한 것'으로 보는 것이 맞다고 여겨집니다.

애매합니다.

소방과 경찰, 재해재난 당국은 두루뭉슬하게 '인명 피해'라고 하지 말고 '사망'과 '다친 것'을 명확히 해야겠습니다. 언론 매체도 명확히 구분해 써야 하겠습니다.